신재생에너지란?
태양, 바람, 물, 지열 등 자연에서 무한히 얻을 수 있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이러한 에너지는 환경오염이나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면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에너지난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적인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세계 각국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EU)은 2030년까지 전체 에너지 소비의 32%를 신재생에너지로 충족하고,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90% 이상 줄이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또한, 미국, 중국, 인도 등의 주요 국가들도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투자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 생산량의 20%, 2050년까지 3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원천을 활용하기 위해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태양광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국내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은 23,000MW로, 이 중 태양광이 16,000MW로 약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태양광 설비 용량을 42,000MW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소, 농어촌 태양광, 지역공동체 태양광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보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이외에도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 등의 신재생에너지 원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상풍력은 세계 최대의 해상풍력 발전소인 신안 소매도 해상풍력 발전소가 건설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해상풍력 설비 용량을 12,000MW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수력은 소규모 수력발전소와 펌프수력발전소를 중점적으로 발전시키고 있으며, 바이오매스는 폐기물과 가축분뇨 등을 활용하여 발전과 동시에 자원순환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산업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신재생에너지의 비용, 안정성, 효율성 등에 대한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확산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연구기관, 시민사회 등이 함께 협력하고 혁신해야 할 것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다양한 소식과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태양광 감사합니다.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테크 : 핀테크의 기초 (0) | 2023.07.13 |
---|---|
에너지 :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 기초 (0) | 2023.07.12 |
소재 : 그래핀 (0) | 2023.07.10 |
이차전지 : 실리콘 음극재 (0) | 2023.07.02 |
산업 : 이차전지 기초 (0) | 2023.07.02 |